아마존 무인매장 Just Walk Out 기술 적용 최초 매장 허드슨 'Hudson Nonstop' 편의점
미국내 공항, 관광지 등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1,000여개의 편의점을 운영하는 허드슨(Hudson)은 아마존의 무인매장 기술인 Just Walk Out 을 활용하여 2021년에 무인매장을 오픈하였다. 아마존의 무인매장 기술인 Just Walk Out을 적용한 최초 매장으로 2021년 1분기 Dallas Love Field Airport(DAL)에 'Hudson Nonstop' 매장을 오픈하고 추가적으로 매장을 확장하고 있다. 허드슨은
한국어 실시간 답변 누가 더 잘하나? Google Bard vs. MS New Bing
지난 십수년동안 전 세계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구글 크롬, 사파리, MS Bing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생성형 AI 분야에서도 오픈 AI 챗GPT, 구글 Bard, MS New Bing 등이 경쟁하고 있다. 그동안 이들 생성형 AI는 실시간 정보를 제시하지 못하고 한글은 지원하지 않는 등 결정적인 단점이 존재했지만 지금은 과거형이 됐다. OpenAI에서 ChatGPT용
[DX프로젝트]GS리테일 'ChatGPT활용 기획 주류 신상품 출시 ' (5월 4주)
매주 국내 주요 금융, 리테일, 제조기업들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추진 트렌드를 분석하는 '주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트렌드(Weekly DX Project Trend)' 5월 3주(5월 15일 ~ 5월 21일) 주요 추진내용 입니다. 옴니채널 서비스 강화 / 유통업계온오프라인 통합마케팅 강화 / 롯데디지털혁신 신성장 동력 강화 / LS그룹데이터기반 의사결정 체계 구축 / KB라이프생명일하는방식 및 조직문화 개선 / 한국가스공사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월마트(Walmart)신선식품 배송서비스 강화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냉장박스 플랫폼 서비스
월마트는 온도조절식 스마트박스 제조업체인 HomeValet과 협력하여 24시간이내 식료품을 배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 월마트 본사 근처에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omeValet의 스마트박스(Smart Box)는 냉장고 처럼 냉동, 냉장, 식료품을 저장할 수 있는 3개의 공간을 제공하여 원격으로 온도조절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플랫폼이다.HomeValet을 사용하려는 고객은 스마트박스를 집
럭셔리 니트웨어 패션브랜드 Sheep Inc.는 생성형 인공지능( Generative AI )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나?
2018년에 설립된 영국 럭셔리 니트웨어 브랜드인 Sheep Inc는 5월 19일에 출시될 캠페인을 개발하는 데 Generative AI 기술을 활용했다. 과거 촬영한 사진을 활용하여 캠페인을 진행한 경우 8주정도의 기간이 소요가 되었는데 Generative AI 를 하면서 단 며칠로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월마트는 매장내 사물인터넷(IoT)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나?
월마트(Walmart)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면서 식품품질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데 사물인터넷(Io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미국 월마트 4600개 매장에 700만개 이상의 사물인터넷 데이터포인트를 관리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된 장치를 통해 매일 온도, 작동기능, 에너지 사용 등에 관한 약 15억개의 메시지가 전송된다. 방대한 사물인터넷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Walmart Global Tech
[DX프로젝트]신세계그룹 '온·오프라인 통합 멤버십 런칭 ' (5월 3주)
매주 국내 주요 금융, 리테일, 제조기업들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추진 트렌드를 분석하는 '주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트렌드(Weekly DX Project Trend)' 5월 2주(5월 08일 ~ 5월 14일) 주요 추진내용 입니다. NFT거래 가능한 스마트TV기술 특허 출원 / LG전자스마트 건설 역량 강화 / 대우건설UAM 경쟁력 확보 / LGU+방문판매 옴니채널 강화 / 리만코리아디지털전환 가속화 추진 / NH농협은행중고차 검색에
베트남 이커머스 시장 현황과 전략적 시사점
베트남 이커머스 시장은 한국과 좀 다르다. 4대 Big E-Commerce 플랫폼에 틱톡이 커머스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어도비(Adobe)는 어떻게 생성형 이미지 인공지능 서비스 'Adobe Firefly' 를 차별화 하였나?
Stable Diffusion, DALL-E, Midjourney 같은 생성형 이미지 인공지능 서비스의 저작권 및 편향성 문제가 이슈가 되는 가운데Adobe는 'Adobe Firefly' 를 출시하면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보다 책임감 있고 윤리적인 측면에서 차별화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Generative AI는 리테일 산업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2)
리테일 부문의 AI 서비스는 2028년까지 50억 달러에서 31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앞서 1편에서는 리테일 산업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해 수익과 생산성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한 화두를 던졌다면 이번 2편에서는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팁을 제시하고자 한다.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현재 리테일 업계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생성형 AI의 활용 사례는 크게
크리에이티브 기업의 "슬기로운 챗GPT 이용 생활"
일본의 유명 광고 대행사인 덴츠는 2023년 4월 27일, ChatGPT를 활용한 "AI 주역형 고객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발표했다.
[DX프로젝트]삼성카드 '플랫폼 기업 확장 ' (5월 2주)
매주 국내 주요 금융, 리테일, 제조기업들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추진 트렌드를 분석하는 '주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트렌드(Weekly DX Project Trend)' 5월 1주(5월 01일 ~ 5월 07일) 주요 추진내용 입니다. 플랫폼 기업 확장 / 삼성카드디지털전환 추진 / 경상북도디지털플랫폼 서비스 제공 / CJ대한통운, 한진NFT마켓플레이스 출시 / 소더비데이터 레이크 구축 / 연세대학교 의료원홈쇼핑 디지털전환 추진 / 롯데홈쇼핑,KT알파,CJ온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