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HR Tech 및 서비스 회사 Top 20 (1)
글로벌 TOP 20 의 HR Tech 및 서비스 회사들을 통해서 HR 분야에 어떤 변화와 혁신을 준비하고 있는지 이해해본다
Velocity Network™ 를 활용한 Prove.Bio 서비스는 개인 Resume를 대체할 수 있을까?
Internet of Career를 실현해 가는 Velocity Network의 뉴욕 연례 총회를 통해서 이미 눈 앞에 와있는 Workforce 생태계의 변화와 적용 사례를 살펴본다
HR 테크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제안
HR 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많은 기업들이 어떻게 해야 성공적으로 기술을 도입하고 혁신을 이룰 것인지에 대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본 글은 월간 인재경영 4월호에 기고한 글을 재편집한 것입니다.)
한국 HR 테크 기업의 미래는 산업생태계 구축에 달려 있다
왜 HR 테크가 하나의 산업이 되어야 하는지, 산업화를 위해 선결 조건인 산업생태계 구축이 왜 필요한지를 살펴본다.
대한민국 HR Tech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제언
HR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HR Tech 기업들의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한국의 HR Tech 산업의 현황을 살펴 보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본다.
앞당겨진 인공지능의 실용화, HR 운영 모델은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지난 30년간 유지되어 왔던 HR의 운영 모델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AI 기술 적용의 확산 그리고 조직 민첩성에 대한 요구가 어떻게 HR 운영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는지 두 글로벌 컨설팅 회사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살펴본다.
AI를 활용한 실시간 노동 시장 변화 예측 솔루션을 개발한 이스라엘 스타트업 Retrain.ai
AI 기술을 활용해 한 경제 생태계 안에서의 인력과 필요 스킬의 수요 변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Retrain.ai라는 회사는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시성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HR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한 사례로 살펴본다
NFT를 기반으로 한 Talent Marketplace 구축,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NFT CV라는 서비스를 런칭한 엔터프라이즈플록체인 회사의 서비스는 향후 Gig Economy가 확대, 성장할 수록 성공의 가능성을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동남아의 슈퍼앱 Grab과 합작법인을 만든다는 뉴스가 전해졌는데, 향후 어떤 행보를 보일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Alpine by Visier, People Analytics 전용 Platform as a Service(PaaS)의 등장
세계최초로 등장한 PaaS 플랫폼 Alpine은 피플애널리틱스의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HR Tech 회사들도 활용이 가능한 서비스로 보이기에 소개해 봅니다.
Microsoft의 WorkLab 속에 담겨진 전략적 의도
2021년 시작된 마이크로소프트의 WorkLab 이라는 정보 공유 채널이 자신들의 실제 경험에서 만들어낸 사람과 조직에 대한 컨텐츠를 어떻게 활용해 더 많은 사용자를 자신들의 서비스와 솔루션에 몰입하게 만들고 있는지 살펴 본다.
Velocity Network이 보여준 HR의 Web3.0 가능성
Velocity Network는 Web3.0 시대의 Block Chain 기술을 응용한 자기주도적 경력 및 학력 관련 증명서 관리로 더 이상의 학력, 자격증 및 경력 위조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채용프로세스의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