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기업에게는 특별한 무언가가 있다? 반짝이는 아이디어와 뜨거운 열정, 그리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 이들이 어떻게 시장과 제품을 분석하고 고객을 이해했는지, 또 어떻게 사업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설계하고 남다른 가격 체계를 수립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했는지 를 사례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승준 파트너) 더인벤션랩에서 투자한 포트폴리오 중에서 HR 분야의 스타트업들도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떤 기업이 있는지 소개해 주시죠. (김진영 파트너) 저희가 투자한 기업중에 HR SaaS 분야에 위펄슨(https://www.weperson.com/)이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더인벤션랩도 원래 다른 기업의 HR 솔루션을 사용했는데 소규모 기업이 도입하기에 너무 방대하고 사용이 어려워 온보딩하기가 쉽지 않다는
신년 대담 2편에서는 HR 분야에서 인공지능, 블록체인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서 HR 트랜스포메이션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보난자 파트너들이 모여서 라는 주제로 대담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대담에서는 인공지능, 메타버스, WEB 3.0 등 각 분야별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새로운 변화가 무엇이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해 토의해 보았습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은 고객경험, 운영・관리 프로세스, 비즈니스모델의 세가지 영역을 대상으로 추진해야 한다. 첫째 고객경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은 기업중심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고객 중심의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는 것이다.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고객접점 채널에서 기대하는 경험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파악하여 고객중심의 관점에서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이 재 디자인 되어야 한다. 디지털
에버렛저는 포드자동차와 협력하여 '배터리 패스포트' 파일럿을 선보였다. 배터리 패스포트는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디지털 신분증(ID)으로 주요 재료, 성분과 함께 궁극적으로 배터리 자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3년 영국 런던에서 시작한 어피어히어는 1인 셀러나 리테일 업체에게 주요 도시에서 단기 계약으로 나만의 상점을 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022년 12월 8일, 스타벅스는 소수 대기자를 대상으로 '오디세이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스타벅스는 일부 대기 그룹을 대상으로 폴리곤 기반의 NFT 형태로 여행 스탬프를 얻는 대화형 여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고객서비스 담당자가 온오프라인에서 전체 고객현황 및 구매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수치화된 데이터 및 차트(Chart)형태 밖에 없다. 현재 온라인쇼핑몰에 방문한 전체 고객 현황, 개별고객의 이용행태, 구매상태, 구매이력, 고객감정상태 등의 방문고객 상세정보를 직관적으로 한눈에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호주의 고객서비스 회사인 파워프론트(Powerfront)는 고객정보를 텍스트와 수치화된 데이터가 아닌 개별
다가오는 2023년에는 그동안 추진해온 전통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평가와 함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2.0'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패션브랜드 조조타운(ZOZOTOWN)은 2017년 11월에 센서가 부착된 슈트(Suit)를 무료로 배포해 개인의 신체사이즈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조조슈트(ZOZOSUIT)를 출시하였다. 그러나 조조슈트 발표 후 사이즈가 맞지 않고 배송이 지연되면서 결국 사업시작 1년만인 2019년 4월에 사업을 중단 발표를 하였다. 조조타운은 이러한 실패 경험을 기반으로 이번에 의류가 아닌
모든 가상자산이 꽁꽁 얼어붙은 크립토 윈터 시기가 끝을 모르고 계속되고 있지만 트위터, 인스타그램, 구글 등 기존 웹 2.0 플랫폼 뿐만 아니라 제조, 유통, 미디어, 금융 등 전통 레거시 기업들도 잇달아 웹 3.0 프로젝트를 선보이면서 희망의 불씨를 피우고 있다. 중앙화된 구조의 웹 2.0 기업이 사용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PR커뮤니케이션 대행사 Diffusion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40%가 중간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DTC(Direct to Consumer) 브랜드제품을 구매한것으로 조사되었다. 제품카테고리는 건강 및 뷰티제품(35%), 의류(34%), 테크 및 가젯(26%)이 전통적인 제품보다 DTC브랜드를 선호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매장보다 DTC제품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저렴한 비용(48%) 과 빠른무료배송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