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C

DXformer
비즈니스모델D2C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디지털네이티브 브랜드는 왜 D2C 판매방식을 선택하는가?

디지털네이티브 브랜드를 말할 때 D2C(Direct to Consumer)와 동일한 개념으로 정의를 내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디지털네이티브 브랜드는 D2C와 상호보완적인 관계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네이티브 브랜드가 상품 및 서비스 그 자체라면 D2C는 디지털네이티브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활용하는 판매방식 중에 하나다. D2C는 제조업체가 백화점, 마트 등의 중간도소매를 거치지 않고

DXformer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디지털리테일D2C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시대 D2C 브랜드란 무엇인가?

뉴욕타임즈(NewYork Times)는 2020년 1월에 대기업이 장악한 소비재 시장에서 구매방식을 바꿔 놓은 신생 스타트업들을 특집으로 소개했다. 달러쉐이브클럽(Dollar Shave Club), 와비파커(Warby Parker) 같은 기업들이 고객들의 의견을 상품 및 서비스에 반영하여 새롭게 브랜드를 재정의하고 고객경험을 강화하면서 거대 기업들의 약점을 파고들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생기업들은 사업을 시작한지 얼마 지나지

DXformer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디지털리테일D2C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리테일 기업의 D2C 전환 어떻게 할 것인가?- 전통 리테일 기업의 e-Commerce 대응 및 D2C전환 전략 -

나이키는 2020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분기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가 감소했으나 온라인 판매는 무려 75%가 증가하여 전체매출에서 차지하는 온라인판매 비중이 30%가 늘어났다.  나이키는 2023년까지 온라인매출 비중을 3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었는데 코로나-19가 3년이나 목표를 앞당긴 것이다.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나이키 디지털매출의 성장을 견인한 것은 2017년에 기업전략의 우선순위를 D2C(

DXformer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나이키D2C인공지능AI Transformation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나이키는 왜 인공지능(AI)기업 셀렉트(Celect)를 인수했나? – 나이키의 M&A로 살펴보는 D2C(Direct to Consumer) 전략

나이키(Nike)는 인공지능(AI)를 기반한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회사인 셀렉트(Celect)를 2019년에 인수했다. Celect는 2013년에 MIT교수인 Vivek Farias 와 Devavrat Shah 가 MIT의 컴퓨터사이언스 및 인공지능 연구소(MIT's 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에서 개발한 예측알고리즘(Celect Engine)을 기반으로 구매패턴을 인식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고객행동을 분석하는

Hundori
비즈니스모델고객경험D2C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MZ세대 사로잡는 D2C 비즈니스 성공 전략

제가 어렸을 때 권투는 상당히 인기있는 스포츠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종합격투기가 권투보다 훨씬 인기가 많죠. 그 이유를 살펴보면 아시다시피 권투는 룰이 엄격한 스포츠입니다. 벨트 아래를 때려도 안 되고 발로 상대방을 가격해서도 안되고 오직 스트레이트, 잽, 어퍼, 훅, 바디와 같은 공격기술를 사용하여 주먹으로만 승부를 내야 합니다. 반면에 종합격투기는 입식 타격뿐만 아니라 발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