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B고객확보를 위한 홈데포(Home Depot)의 디지털리테일 전략
미국 대형 홈센터인 홈데포(Home Depot)는 B2B 영역 확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버드 JCHS(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의 주택리폼에 대한 투자 및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지금리 상승 및 아파트 판매 증가가 그 원인이다. 이러한 상황에 매출을 늘리기
왜 전통기업은 디지털트랜스포머가 되려고 하나? - 전통 제조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 -
포레스터 리서치는 디지털 시대의 기업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디지털 약탈자(Digital Predators), 디지털 트랜스포머(Digital Transformers), 전통적 공룡(Traditional Dinosaurs) 등이다. ▶ 디지털 약탈자: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조직 문화와 이머징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전통 기업의 시장을 차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업. 예) 아마존, 에어비엔비, 넷플릭스, Lyft 등 ▶ 디지털 트랜스포머:
월마트(Walmart)는 어떻게 고객의 문제를 해결할까? -월마트의 고객경험강화 전략 -
월마트의 CEO인 더그맥밀런(Doug McMillon)은 연례주주총회에서 어벤저스엔드게임(Avengers: Endgame)을 보면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장면이 토니스타크가 과거로 돌아가 아버지를 만나면서 아버지 한데 '돈을 아무리 많이 주어도 단 1초의 시간을 살 수 없다(No amount of money ever bought a second of time)' 라고 말하는 장면이 가장 인상깊었다 라고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오프라인 기업의 옴니채널 추진전략
1892년에 설립되어 한때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으로 미국 리테일 시장을 주름잡던 ‘시어스(Sears)’ 가 매출부진으로 인한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파산보호 신청을 제출했다. 시어스 파산원인은 변화하는 디지털환경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해 오프라인 매장유입의 한계 및 아마존 같은 온라인 유통기업에 고객을 빼앗기면서 경쟁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국내외 많은 리테일 기업들은 변화하는 디지털환경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나이키 신발 사이즈 측정 서비스 - 나이키핏(Nike Fit) -
나이키는 2018년 11월 뉴욕에 ‘하우스 오브 이노베이션 000(House of Innovation 000)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장하였다. 고객에게 보다 나은 쇼핑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매장내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나이키의 모바일앱(Mobile App)을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모바일앱을 활용하여 신발을 신어보고 구매까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이키 하우스 오브 이노베이션 매장을 방문하면 고객의
자동차 회사는 왜 플랫폼 기업이 되려고 하나? - 자동차 회사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세계경제포럼(WEF)은 전통 산업분야중에서 자동차 산업이 가장 빠르게 디지털 플랫폼 모델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차 안 곳곳에 부착된 약 300여개의 센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고장이나 장애를 미리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다. 자율 주행 기능을 동작시키면, 운전자는 차량 이동 중에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쇼핑을
월마트(Walmart) 매장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하다. - 월마트 지능형 매장 Intelligent Retail Lab(IRL) -
월마트(Walmart)는 인공지능(AI) 과 대화형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미래형 매장인 ‘인텔리전트 리테일랩(Intelligent Retail Lab)을 오픈하고 신선식품과 일상용품을 판매하는 네이버후드 마켓에서 테스트 중이다. 기존 소형포맷 중심의 무인매장과 차별화를 위하여 실제 매장운영과 고객경험을 강화하고 데이터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테스트매장이 아닌 실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뉴욕 레비타운(Levittown)에 자리 잡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리테일기업의 고객경험관리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에 무엇보다 고객여정 단계별 대응을 위한 고객경험관리(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CXM)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통적인 리테일기업들이 변화하는 디지털시대에 생존하기 위해 추진한 고객경험기반 대응전략을 기반으로 디지털리테일의 미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베스트바이(BestBuy) 아마존의 쇼룸에서 고객경험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다. 베스트바이의 전 CEO인 졸리는 ‘10년전 사람들은 아마존 때문에 베스트바이가 사라질
주목해야할 아마존(Amazon)의 5가지 전략
아마존(Amazon)은 혁신을 멈추지 않고 꾸준히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아마존의 변화혁신에 주목해야할 5가지 전략 추진 방안을 분석하였다. 1. 점유율이 약한 제품 카테고리 전환율 높이기 아마존이 모든 제품 카테고리 분야를 선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Jumpshot 이 아마존의 22개 제품 카테고리를 분석한 결과 아마존 점유율이 가장 낮은 분야는 의류 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시대 디지털마케팅 어떻게 할것인가?
오래 전 LG전자 광고에서 생선을 파는 할머니가 디지털(Digital)을‘돼지털(?)’ 이라고 말하면서 디지털세상을 애기했지만 피부로 잘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소셜미디어 등장, 스마트폰 보급확산, 다양한 센서가 결합된 웨어러블(Wearable) 제품이 출시되면서 SF영화에서나 나올법한 애기들이 이제 자연스럽게 일상에서 이루어지면서 진짜 디지털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디지털기술이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비즈니스 및 일상생활의 모든
오프라인 매장은 어떻게 고객경험(Customer Experience)을 혁신하고 있나?
매장폐점 횟수가 기록적으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전세계 매출의 88%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새로운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온라인 업체들이 출현하고 옴니채널 구매고객이 늘어나는 상황에 오프라인 리테일 업체는 자신의 강점을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온라인 업체들이 제공하지 못하는 고객들이 제품을 만져보고 느낄 수 있는 차별화된 쇼핑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조기업은 어떻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해야 하나?
2022년이 시작되면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본격적으로 전 세계 산업계를 관통하는 메가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글로벌 가치사슬이 빠르게 재편되는 가운데 전통기업들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에서 생존의 해답을 찾고 있다. 디지털기술이 기업의 제품생산, 물류, 판매, 마케팅의 가치사슬(Value Chain)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기업의 비즈니스 가치사슬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정의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제조 공정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