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일 매장은 이제 강력한 미디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블록체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이 구현하는 미래 사회의 모습과 이를 통해 변화되는 새로운 기업 환경의 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리테일 업계 역시 이러한 디지털 열풍을 피해나가기 어렵다. 이미 대규모 오프라인 리테일/유통망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들은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머(Digital Transformer)
리바이스(Levis)는 어떻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추진 하였는가?
리바이스(Levi Strauss & Co)는 2019년 3월 에 1985년 상장폐지 후 34년만에 뉴욕증시에 다시 복귀하였다. 상장첫날 주가는 32%가 급등하여 22.41달러로 마감되었다. 이러한 기업가치는 메이시스(Macy’s) 나 노드스트롬 (NordStrom)보다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은 것 이다. 이러한 리바이스의 기업가치 상승 배경에는 2011년 9월에 CEO로 부임한 P&
DX 강의시 가장 많이 나오는 단골 질문 5가지
저희 연구진은 지난 2018년부터 금융, 유통, 제조, 미디어 등 다양한 기업에서 DX 강의를 진행해 왔습니다. 강의시에 현업에 계신분들께 다양한 질문을 받곤 하는데요. 오늘은 DX 강의시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1. 국내 기업중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를 구분하여 소개해 주셨으면 합니다.강연이나 워크숍 진행시 가장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어떻게 지속 하고 유지할 것인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은 시작도 중요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패러다임 변화에 혁신추진력을 상실하지 않고 지속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유지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알리안츠 그룹(Allianz Group)의 조그로스(Joseph Gross)는 ‘ 알리안츠의 가장 큰 도전과제는 우리가 이미 만들어낸 추진력을 유지하고 가속화 하는 것입니다. 여전히 진화하고 있는 과정이며, 즉각적인 성과를 얻기를 기대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조직은 기존의 익숙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리더십역량 어떻게 구축하고 확보할 것인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추진에 있어서 디지털역량이 디지털관련기회에 ‘어떤’ 부분에 투자해야 하는지에 관한 사항 이라면 리더십 역량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지에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을 위한 리더십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디지털 세상에서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비전을 세우고,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직원들을 참여시키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디지털전략 추진을 가속화시키고 일관된 추진을
뛰고, 벌고, 사용하는 M2E(Move-To-Earn) 프로젝트 비교 분석
M2E 선두주자, 스테픈스테픈은 걷거나 조깅으로 암호화폐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솔라나 기반 M2E(Move-To-Earn) 서비스로 파인드 사토시 랩(Find Satoshi Lab)을 창업한 제리 황(Jerry Hwang)과 얀 롱(Yawn Rong)이 개발했습니다. 스테픈은 2022년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벌어들인 누적 수수료만 6,820만 달러가 넘어섰고 일 사용자 30만명,
초기 플랫폼 스타트업팀을 위한 TIP : 핵심지표 확보하기
초기 플랫폼 스타트업은 그들이 추구하는 사업모델의 유형에 따라 획득해야 할 핵심지표가 조금씩 차이가 난다. 각 플랫폼 유형 별 핵심지표에 대한 이야기!
데이터 주도 시대, 금융업종별 패러다임의 변화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기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막대한 투자와 조직의 변화를 확대시키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경영진의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 디지털 조직으로 변화하고 혁신해야 한다는
인공지능 기반 패션 코디 서비스, UNIQLO IQ
히트텍, 에어리즘, 플리스, 경량패딩 등으로 유명한 유니클로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GAP, ZARA, H&M 등과의 치열한 경쟁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통해 극복해나가고 있다. 그중 돋보이는 것이 2017년 9월 선보인 패션 코디 챗봇 서비스인 UNIQLO IQ다. UNIQLO IQ는 구글이 제공하는 챗봇 빌더 플랫폼인 Dialogflow를 활용해 개발되었으며 스마트폰 앱을 통해 추천 코디부터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인가?
비즈니스 모델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잠재 고객에게 제품이나 서비스에 차별화된 가치를 담아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비즈니스 모델은 사업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역할과 이를 통해 얻게 되는 인센티브,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 매출의 원천 등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구성요소들이 진화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은 매우 강력한 산업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역량 어떻게 구축하고 확보할 것인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을 위한 디지털역량을 구축하고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고객경험을 창출하고, 내부 운영프로세스를 혁신하여, 비즈니스모델을 재창조하는 단계별 접근이 필요합니다. 디지털역량은 디지털기술역량을 확보하는게 아니라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및 비즈니스를 혁신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객경험, 운영프로세스, 비즈니스모델의 세가지 디지털역량을 활용하여 기업에 맞는 차별화된 디지털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 세가지 역량에 관해서 하나씩 살펴보도록
이케아(IKEA)는 어떻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였는가?
오랜 기간 동안 이케아(IKEA의)의 차별화 요소는 매장경험에 있었다. 미로 같은 매장 레이아웃을 통한 차별화된 경험, 다양한 가구를 체험하는 즐거움, 저렴하고 푸짐한 푸드코트를 기반으로 방문고객이 매장에 더 오래 머물고 더 많이 구매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아마존닷컴에서의 가구구매가 늘어나고 더 나아가 직접 가구브랜드를 출시하면서 위협이 되었으며, Wayfair 같은 신생 D2C브랜드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