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언론보도에서 유독 '마이데이터’에 대한 기사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마이데이터는 은행, 카드사, 보험사, 증권사, 통신사 등에 흩어져 있는 개인 금융정보를 통합하여 한 곳에서 관리하는 개념으로 데이터를 ‘물’에 비유한다면 마이데이터는 여러 곳에서 흘러온 물이 하나로 합쳐져 흐르는 ‘수로’(水路)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의 기술철학자 베르나르 스티글레르(Bernard
사회 곳곳에서 비대면을 선호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금융업계에서도 챗봇서비스와 같은 비대면 업무처리가 중요해졌습니다. 채팅(Chatting)과 로봇(Robot)의 합성어인 챗봇(Chatbot)은 채터봇(Chatterbot), 토크봇(Talkbot)으로도 불리며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학습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서비스를 뜻합니다. 챗봇은 기능에 따라서 크게 과업형 챗봇과 비과업형 챗봇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과업형
(김진영 대표) 기업의 성공적인 DT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기존 KPI 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김형택 대표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DT for Company관점에서 KPI가 있고 DT for Customer 관점에서의 KPI가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DT for Company는 내부 생산성 향상, 업무 프로세스 자동화, 공장 자동화와 같은 부분인데 사실은 일하는
오픈시, 슈퍼레어, 클립드롭스, 닉플레이스 등 서로 다른 NFT 마켓에서 구매한 NFT 작품들... 내가 투자한 NFT 작품이 여기저기 흩어져있다 보니 관리도 안되고 구매한 시점에서 수익이 났는지, 손해인지를 알기도 어렵습니다. 또 적절한 판매시기를 놓쳐서 손해를 보기도 하는데요. 그런데 여기 뱅크샐러드나 토스처럼 여기저기 흩어진 NFT 자산을 한 곳에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현재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가치와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기업”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막대한 투자와 조직의 변화를 확대시키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경영진의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 디지털 조직으로 변화하고 혁신해야 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