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미힐피거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를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하다.- 타미힐피거 3D 디자인플랫폼 -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 는 디자인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는 기술인큐베이터인 STITCH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타미힐피거는 2017년부터 3D기반의 디자인설계를 도입한 이후 소프트웨어엔지니어, 3D설계전문가 들이 전체 디자인 설계플로워를 디지털로 구현(Fully Digital Design Workflow )하는 에코시스템 툴을 개발하였다. 여기에는 디지털패브릭, 패턴 및 컬러라이브러리가 포함된다. 디지털3D프리젠테이션 도구 및 렌더링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디자인 및 샘플제작단계를 가상프로세스(Virtual Process)
디지털네이티브(Digital Native)들이 사랑하는 DTC(Direct to Consumer)브랜드들은 왜 오프라인 체험형매장을 구축할까? -DTC브랜드 O4O전략-
PR커뮤니케이션 대행사 Diffusion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40%가 중간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DTC(Direct to Consumer) 브랜드제품을 구매한것으로 조사되었다. 제품카테고리는 건강 및 뷰티제품(35%), 의류(34%), 테크 및 가젯(26%)이 전통적인 제품보다 DTC브랜드를 선호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매장보다 DTC제품을 선택하는 이유로는 저렴한 비용(48%) 과 빠른무료배송 과
맥도날드(McDonald 's)는 드라이브스루(Drive-thru) 대기시간을 어떻게 개선하였을까? -맥도날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 -
맥도날드(McDonald 's)의 드라이브 스루(Drive-thru) 대기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QSR의 드라이브 스루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9년에 전체적으로 드라이브 스루 대기시간이 20초 증가 하였으며 스피커로 주문후 주문창구로 이동하는 시간이 평균 255초 인 것으로 나타났다. 맥도날드의 평균 드라이브 스루 시간은 284초로 지난해 보다 11초 증가했다. QSR에 따르면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
리테일기업은 로봇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 리테일기업의 로봇활용전략 -
텍사스 휴스턴 지역에 새롭게 오픈하는 홀푸드 마켓(Whole Foods Market)에 AI가 탑재된 바리스타 로봇을 도입하여 커피를 제공하고 있다 바리스타 로봇은 부리고(Briggo)의 커넥티드 커피(Connected Coffee) 서비스인 ‘부리고 커피하우스(The Briggo Coffee Haus)’ 로 Friends of Whole Foods Market 프로그램에 합류하여 쇼핑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커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부리고 커피하우스는
타겟(Target)은 어떻게 옴니채널 전략을 추진하였는가?
미국 소매유통업체 타겟(Target)은 2019년 2분기 매출은 3.6% 증가한 182억달러이며 영업이익은 13.2억달러, 순이익은 9.38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7.4%로 실적이 증가했다고 발표하였다. 총주문건수는 2.4%, 평균거래금액은 0.9%가 증가하였으며 채널별 매출신장률은 매장이 1.5%, 디지털이 1.8%로 전체적으로 3.4%가 증가하여 업계 1위인
나이키는 왜 인공지능(AI)기업 셀렉트(Celect)를 인수했나? – 나이키의 M&A로 살펴보는 D2C(Direct to Consumer) 전략
나이키(Nike)는 인공지능(AI)를 기반한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회사인 셀렉트(Celect)를 2019년에 인수했다. Celect는 2013년에 MIT교수인 Vivek Farias 와 Devavrat Shah 가 MIT의 컴퓨터사이언스 및 인공지능 연구소(MIT's 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에서 개발한 예측알고리즘(Celect Engine)을 기반으로 구매패턴을 인식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고객행동을 분석하는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을 위한 5가지 성공법칙
하버드경영대학원(HBS)의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한 상위 25%의 선도 기업이 하위 기업보다 3개년 평균 매출 총이익은 55%, 평균 순이익은 11%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기업과 그렇지 않는 조직의 격차는 앞으로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이제 거부할 수 없는 시대의
옴니채널 시대 QR코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QR(Quick Response)코드는 1994년에 도요타 자동차 덴소 개발 부서(현재는 덴소 웨이브)가 개발한 가로세로 두 방향의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초기에는 2만여가 넘는 자동차 부품 생산 관리 등 상품 관리에 널리 이용되었나 현재는 기존 바코드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여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2023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트렌드 10대 키워드
2023년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10대 키워드는 △ (전략)비즈니스모델 확보 △ (조직)온오프라인통합조직 체계 강화 △(추진체계) 현업부서 주도 전략추진 △(역량강화) 디지털생태계(Ecosystem) 강화 △(추진범위) 엔드투엔드(End to End)연결 △(테크활용) 가치사슬(Value Chain) 최적화 중심 디지털테크 고도화 △ (데이터)고객경험 강화 마이데이터 활용 △(서비스) 끊김없는 온디맨드 서비스 체계 구축 △(채널) 멤버십 기반의 옴니채널 마케팅 재정의
메르세데스-벤츠그룹 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은?- 메르세데스-벤츠그룹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추진전략-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이 기업내 비즈니스 환경을 구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제조업 중에서 가장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일어나는 자동차 산업의 경우 차량 곳곳에 부착된 수백개의 센서들이 분당 와이퍼 속도부터 타이어 공기압, 주행 속도, 운전 습관 등 차량 주행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자동차 회사는 고객의
B2B고객확보를 위한 홈데포(Home Depot)의 디지털리테일 전략
미국 대형 홈센터인 홈데포(Home Depot)는 B2B 영역 확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버드 JCHS(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의 주택리폼에 대한 투자 및 소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지금리 상승 및 아파트 판매 증가가 그 원인이다. 이러한 상황에 매출을 늘리기
왜 전통기업은 디지털트랜스포머가 되려고 하나? - 전통 제조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전략 -
포레스터 리서치는 디지털 시대의 기업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디지털 약탈자(Digital Predators), 디지털 트랜스포머(Digital Transformers), 전통적 공룡(Traditional Dinosaurs) 등이다. ▶ 디지털 약탈자: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조직 문화와 이머징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전통 기업의 시장을 차지하거나 또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기업. 예) 아마존, 에어비엔비, 넷플릭스, Lyft 등 ▶ 디지털 트랜스포머: